1 분 소요

게임 개발자는?

분야 핵심 역할 세부 예시
1. 게임 기획 (Game Design) 게임의 전반적인 구조와 콘텐츠 구상 시스템 기획, 레벨 디자인, 밸런싱, UX 흐름
2. 프로그래밍 (Programming) 게임 로직 및 기술 구현 게임플레이 코드, 엔진 커스터마이징, 네트워크, 툴 개발
3. 그래픽/아트 (Graphics/Art) 시각 요소 제작 컨셉아트, 3D 모델링, 애니메이션, VFX, UI
4. 사운드 (Audio) 음향 및 음악 제작 BGM, 효과음, 음성 녹음, 오디오 믹싱
5. QA (Quality Assurance) 품질 보증 및 테스트 버그 리포팅, 밸런스 테스트, 빌드 안정성 확인
6. PM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일정, 리소스, 협업 관리 스케쥴링, 회의, 의사소통 조율

  • 협업의 과정?
    기획자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시스템 문서 작성
    아트, 사운드 쪽에선 해당 아이디어를 구체적으로
    프로그래밍 쪽에선 시스템의 구현 가능성을 바탕으로 아이디어를 조율한다

    이후 각 파트의 결과물을 조합하여 게임을 만들고
    QA의 피드백을 받으며 완성도를 높여나간다


  • 필요 기술과 역량
    언리얼 3D 프로그래머로서
    C++, Unreal 5 엔진 사용 역량, 수학, 렌더링 지식, 알고리즘/자료구조, 네트워크 등이 주요 기술이 되며
    문제 해결 능력, 창의력, 소통능력, 협업, 자기주도 학습 등이 소프트 스킬이 된다

    현재 필요한 게임 엔진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하여
    주어진 강의를 습득하여 빠르게 적응하려 합니다

나만의 게임 개발자 정의

게임 개발자는 ‘재미’라는 감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시스템’이라는 논리 역시 추구해야 하는 균형에 선 개발자입니다
ex) 이 컨텐츠 재밌어 보이는데?
vs
실제로 구현을 하게 되는 경우에 대한 리팩토링과 최적화 고민

회사에서 일을 하게 되는 경우는 보통 전자를 ‘기획’측에서 대신하며
후자의 경우만을 생각하게 되어, ‘기획’ 측과의 사이가 나빠지거나
아니면 ‘기획’의 타협안으로 완성된 결과물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그렇기에 제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게임 개발자의 모습은
‘아이디어로서의 재미’를 살림과 동시에
프로그래머 협업자가 보아도 효율적이며 보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한번에 이루어질 수 없고,
최적화와 리팩토링이 반복되어 나오는 결과라 생각하기에
한 번의 구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반복해서 코드를 잡는 과정이 필요하다 여깁니다


게임 개발자가 되고 싶은 이유와 목표

전문학교 시절 게임 동아리에서 완성한 작품을
공모전에 수상하고 직접 반응을 얻으며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관련 공모전 기사

Unreal과 그래픽스를 바탕으로 화려한 그래픽과 최적화를 통해
팀 포트폴리오의 퀄리티를 끌어올리며, Unreal 게임 개발자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