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분 소요

AWS 강의

리전 : 서버가 호스팅 될 물리적인 위치
latency를 고려하여 리전을 배치한다

리전 선택 시 고려 사항
고가용성, 높은 확장성, 높은 내결함성을 고려
-> 복수의 ‘가용 영역’(AZ)로 구성

로직을 돌리는 서버가 AZ 단으로 분리되어야 함

‘네트워크’

  • Amazon VPC(Virtual Private Cloud) 구축

가상의 개인 클라우드

  • 사용자가 논리적으로 격리된 프라이빗 네트워크 환경을 만듦
  • 가상의 네트워크 제어 기능
    (IP 주소, 서브네팅, 라우팅, 보안그룹 등등)
    (서브넷 분리를 통해 AZ 분리)
  • CIDR 블록은 VPC 크기를 지정하여 생성
    (/16~/28까지 지원 - 숫자가 작을수록 네트워크의 범위가 커짐)
    (네트워크 대역대)

VPC는 region에 속함
AWS Cloud > AWS Account > Region > VPC

VPC를 직접 구현해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함
(기본적으로 defalut는 존재함)

VPC구성

  • VPC 네트워크 IP 대역 정의
  • 가용 영역(AZ) 별 서브넷 지정
  • 라우팅 테이블 생성 및 연결
  • 트래픽 접근 제어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16 : 1010 1100 0001 1111 / 0000 0000 0000 0000
앞의 16번째가 고정, 뒤쪽의 16자리를 자유로이 사용 가능

같은 vpc 내부의 ip들은 ‘로컬 통신’으로 취급
(같은 라우팅 테이블을 사용)

인터넷 통신을 해야하는 경우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인터넷 통신을 하게 된다
(라우팅 테이블을 통해 외부 통신 여부를 판단하고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통신을 던지게 됨)

public 서브넷과, private 서브넷 존재
vpc 내부 통신에서 프라이빗 서브넷을 사용
외부 통신할 때 퍼블릭 서브넷을 사용
(private에서 외부통신이 필요한 경우, public 서브넷을 통해
통신)

일부 ip는 사용 불가
AWS가 예약한 IP주소
10.0.0.0~3 + 10.0.0.255

액세스 제어
NACL(Network Access Control List)

  • 서브넷 단위의 방화벽

보안 그룹

  • 인스턴스 단위의 차단벽

인바운드 : 나가는 것
아웃 바운드 : 들어오는 것
(이러한 규칙 설정을 해야 한다)

내가 통신 서버를 만든다면
리전 선택 -> 2개 이상의 az 설정하기(서브넷 만들기)
(vpc설정 - vpc 대역 확보, 주소 중복범위를 고려)
이후 로드밸런싱과 인터넷 게이트웨이 만들기

아마존 EC2
가상 서버(가상화)
(하이퍼바이저 : 서버를 가상화하여 위에 인스턴스를 올리게 해준다)

운영체제에 따라서
사용하게 되는 가상머신이 달라진다
정확히는 AMI(Amazon Machine Image)

이는 일종의 이미지 템플릿
Amazon EBS 스냅샷 등을 포함한다

AMI 선택이 서버 생성의 시작이다

커스텀 인스턴스 생성이 가능하다

데이터 저장 시, ec2 인스턴스가 아니라 EBS 내부에 저장해야
서버 에러 발생시, 안전한 복구가 가능함
(인스턴스 사용 시, ‘정지’ 후 재시작 시,
물리적 호스트가 달라져, 데이터가 유지 안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각종 CPU 종류에 따른 인스턴스 유형도 존재
(+ 기본적으로 범용을 사용)

인스턴스 선택 시,
인스턴스 타입 + 세대 + 추가기능 . 인스턴스 크기 를 고려
(예를 들어 c 7 gn . xlarge)

storage
(server, storage, network)
AWS에서 server는 instance가 담당
network는 가상화됨

storage : 저장소
standard를 보통 많이 사용하고,
장기 보존을 위한 아카이브 데이터의 경우는 보통
Glacier 라는 클래스를 이용한다고 함

(Intelligent-Tiering : 알아서 비용을 절약해준다)
(다만 이 클래스는 모니터링 비용이 추가적으로 부과됨)

Ec2의 인스턴스 store 같은 경우,
‘물리 연결’된 디스크에 위치하여
접근 성능이 좋음 + 가격이 인스턴스의 비용에 포함
(일부 인스턴스에 포함되지 않는 점도 유의)
그러나, 장기 기억에 대하여 불안정하다는 단점이 있음

EBS 의 경우,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storage
ebs의 백업을 위하여 ‘스냅샷’을 채용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스냅샷을 설정하여 백업용 데이터 설정)
(물론 안하는 경우, 문제 발생시에는…)

객체(오브젝트) : 파일 또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를 표현
이러한 객체의 데이터는 S3의 버킷에 저장됨

버킷 : 데이터를 저장하는 컨테이너
(폴더 구조와 유사
)

게임 서버의 경우 fsx 를 이용한다는 말은 있음
(Windows file storage)

데이터 베이스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에 연관된 Aurora, RDS 서비스
Im-memory 서비스인 ElastiCache 도 많이 쓰임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