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gram socket, Stream socket
Datagram Socket 비연결형(Connectionless) 소켓이며, UDP(User Datagram Protocol) 기반 (UDP는 Transfort Layer의 프로토콜이며, 한 계층 아래의 IP 프로토콜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Datagram Socket 비연결형(Connectionless) 소켓이며, UDP(User Datagram Protocol) 기반 (UDP는 Transfort Layer의 프로토콜이며, 한 계층 아래의 IP 프로토콜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title: “네트워크 강의” last_modified_at: “2023-11-17T14:00:00” categories: 크래프톤 정글 CS 네트워크 tags: 크래프톤 정글 CS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 서버 모델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구조
지리적 규모에 따른 네트워크의 분류 LAN(Local Area Network) 지리적으로 가까운 장치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소규모 네트워크 이며, 주로 ‘이더넷’이 주로 사용 높은 속도와 낮은 지연 시간
운영 체제의 모드 User mode 일반적인 프로그램 실행 응용프로그램은 시스템 자원에 직접 접근 불가 제한된 명령어 집합 실행 가능 메모리 일부 영역에 접근 가능 제한된 운영체제 서비스에 접근이 가능 => 응용 프로그램 간의 상호 간섭의 최...
DMA(Direct Memory Access) 일종의 입출력 제어 방식으로 CPU의 개입 없이 주변장치(HDD,GPU 등)가 메모리에 직접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의 기능
malloc lab - segregated free list 일정한 크기로 나눈 가용 리스트를 이용하여 find - fit 시 검색 범위를 찾는 방식 내가 구현한 방식은 ‘명시적 가용 리스트 - LIFO’를 2의 지수승 으로 약 20개 정도를 만들어 관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메모리 할당 정책 응용프로그램이 메모리의 블록을 요청할 때, 메모리 할당기는 요청한 블록을 저장하기에 충분히 큰 가용 블록을 리스트에서 검색한다
동적 할당을 위한 가용 리스트 함수를 호출하면 ‘스택’에 스택 프레임이 생성되고 지역변수를 선언하면 그것 역시 ‘스택’에 메모리를 잡는다
demand zero memory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관리 방식 중 하나이며 가상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식이다 (구현 방식에 따라 사용되지 않기도 한다)
malloc lab implict free list에 대한 내용은 CSAPP의 9.9에 존재하여 해당 내용을 구현하여 테스트 제출 시, 약 54 점 정도 나왔던 걸로 기억한다
동적 메모리 할당 기본적인 개념은 프로그램이 ‘실행시간 동안 사용할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는 것’을 뜻한다
가상 메모리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VM)’ 는 메모리 관리 기술 의 일부로, 메인 메모리 (RAM) 과 보조 기억 장치(HDD,SSD) 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가상 메모리 주소 공간’의 개념을 이야기 하는 표현으로도 사용된다
종이의 개수 (백준 1780) https://www.acmicpc.net/problem/1780
주유소 (백준 13305) https://www.acmicpc.net/problem/13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