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1720 숫자더하기
숫자 더하기 (백준 11720)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0
숫자 더하기 (백준 11720)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0
Pintos Project3 까지… OS가 얼마나 대단하고 소중한 (?) 존재인지 깨달을 수 있었던 5주였던 것 같다 각각 스케쥴링, 시스템 콜, 가상 메모리 에 대한 OS의 핵심적인 역할에 대하여 보다 심도있게 이해할 수 있었다 이전에야 CS 적인 지식을 익히고 ‘OS...
pintOS Project 3
pintos VM 진행 중 알게된 점들을 정리하기 일부 진행 중 궁금하였던 내용과 알게된 내용을 정리하는 용도의 TIL
이해 중… 일단 Git Book을 따라가며 진행 중이나 몇 가지 생각해야 할 부분이 존재한다
정리 이전 권영진 교수님께서 pdf를 주셔서 해당 pdf의 일부 이미지를 참고하였고, 정리 중 일부 내용을 추가하였다
다중 레벨 페이지 테이블이 필요한 이유! Page Table은 기본적으로 메인 메모리에 존재한다 이는 ‘DRAM’에 존재한다는 것인데…. 문제는 Page의 개수가 상~당히 많다는 점이다
가상 주소 공간과 mmap [출처] : https://devraphy.tistory.com/428 가상 주소 공간의 ‘영역’은 주로 Code, Data (+ bss), heap, stack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Page Replacement Policy [출처] : https://velog.io/@owlsuri/%ED%8E%98%EC%9D%B4%EC%A7%80-%EA%B5%90%EC%B2%B4-%EC%95%8C%EA%B3%A0%EB%A6%AC%EC%A6%98
정리 이전 권영진 교수님께서 pdf를 주셔서 해당 pdf의 일부 이미지를 참고하였고, 정리 중 일부 내용을 추가하였다
system call 정말 정신없었던 1.5주 였던 것 같다 반에 코로나가 유행하였고, 개인적으로 컨디션이 좋지 않아 til도 잘 작성하지 못한 것 같다 ‘커널 공간’에서 진행되는 ‘사용자 공간’에 대한 처리 방식 즉, ‘시스템 콜’에 대한 이해가 부쩍는 듯 하다
Atomic Operation 직역하자면 ‘원자적 연산’이란 뜻을 가진다 마치 ‘원자’처럼 더 이상 ‘분할’할 수 없는 ‘작업’을 뜻하며
Cache 캐싱이란 ‘기존의 액세스한 데이터의 사본을 보관’하는 ‘임시 저장 공간’을 의미하며 동시에 ‘느린’ 데이터 저장 장치 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빠른 저장장치에 보관시켜 전체적인 성능의 향상하는 ‘기법’에 대한 내용도 포함된다 (좀 더 세밀하게 말하자면 이러한 기법을 ...
User Stack 프로세스의 ‘User Mode’ 부분에서 실행되는 스택 각각의 프로세스가 가지는 ‘스택’ 영역이며 함수 호출 시 지역 변수, 매개 변수, 복구 주소 등이 User Stack에 저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