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다(Python)
람다 함수(Lambda Function) ‘간단한 함수’를 선언없이 사용하는 방식
람다 함수(Lambda Function) ‘간단한 함수’를 선언없이 사용하는 방식
스택 [출처] : https://roi-data.com/entry/%EC%9E%90%EB%A3%8C%EA%B5%AC%EC%A1%B0-4-%EC%8A%A4%ED%83%9DStack%EC%9D%B4%EB%9E%80-%EC%97%B0%EC%82%B0-%EA%B5%AC%ED%98%8...
큐
우선순위 큐 [출처] : https://velog.io/@holicme7/%EC%9A%B0%EC%84%A0%EC%88%9C%EC%9C%84-%ED%81%90Prioirity-Queue-mbk48cz764
분할정복 알고리즘 ‘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분할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 전반적으로 ‘재귀’와 유사한 점이 많은 방식이다.
정렬된 데이터 :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더욱 특화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렬할 수 있는 데이터’의 경우, 그에 특화된 ‘이진탐색’이라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더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다
정렬 알고리즘 n개의 데이터가 입력으로 주어졌을 때, 특정한 기준에 따라 해당하는 데이터에 순서대로 열거하는 것 데이터를 정렬하는 경우 효율적인 ‘탐색’이 가능해진다
탐색 알고리즘 어떠한 ‘데이터 구조’ 안에 존재하는 것을 구해오는 알고리즘 일반적인 ‘선형(linear)’ 탐색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N) ‘해시 맵’을 이용한 탐색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1) (‘해시’와 관련한 내용은 차후 포스팅을 따로 다룰 ...
하노이의 탑(백준 1914) 일일이 블록을 이동하며, 뭔가 규칙성을 찾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혹시 그래서 ‘수학적 귀납법’이 사용된다고 말하는 걸까??)
반복문 일정한 명령을 일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행하는 명령 일반적으로 for 문 , while 문, do .. while 문이 존재
복잡도 : 알고리즘의 성능을 나타내는 척도 크게 시간, 공간 복잡도 로 나뉜다 입력한 데이터가 ‘많아짐’에 따라 다음의 요소가 얼마나 늘어나는지를 측정 시간 복잡도 : 실행 시간 공간 복잡도 : 필요한 공간(메모리) => 입력이 늘어남에 따른 시간과 필요 공간의 증가...
배열 메모리 한 덩어리라는 표현 (연속된 데이터 집합) 여러 데이터 (같은 타입)을 연속하여 세워 놓은 자료구조 각 자료의 데이터 타입의 크기를 알기에 해당 데이터 타입의 크기만큼 점프하여 인덱스로 접근 가능
1.1 정보는 비트와 컨텍스트로 이루어진다 비트 0과 1 을 가지는 최소한의 정보 표시 단위
지나온 과거에 대하여